반응형

다음 순서대로 합니다.
설치되는 곳은 윈도우 10 입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한다.

사용자 계정이 나타난다. Yes 나 예를 클릭하면 로딩 창이 나타나며 다음과 같이 창이 나타난다.

click Next button.

다음 그림과 같이 설치할 디렉터리 선택이 나타난다.

그대로 진행해도 되고
Change를 클릭해서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체크한 파란 박스를 선택해도 되지만
빨간 부분을 선택하면 커서가 생긴다 (여기서 커서 모르는 사람은 알고 오시기를 ㅋㅋㅋ)
드라이브 변경을 원하면 C 를 D 나 E로 변경하면 된다. 
난 다음과 같이 진행할 것이다.

빨간 박스처럼 설정 후 Ok 버튼 클릭
(Delete 키와 BackSpace 키를 이용)

파란 박스처럼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Next 를 클릭

설명처럼 Next Steps 를 클릭해서 각종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므로 Close 를 클릭한다.
Next Steps 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이미지를 축소했는데 더 자세한 것은 직접 사이트를 방문한다.
여기서 이전하고 조금씩 차이가 보이는 부분으로 보인다.

설치된 경로

C:\Java\jdk-15.0.2 에 설치된 내용이다.

예전에는 여기서 보이는 bin folder 를 시스템 환경 변수에 path 를 설정해 주었다. 
이 블로그에서는 SE 7 에서 SE 15 로 넘어오는 바람에 어느 시점부터 다음 내용과 관련 부분이
생겼는지 모르지만 우선 오라클을 믿고 그냥 진행한다. ㅋㅋ

그래도 다음은 확인한다.

위에 같은 내용의 사진이 2개가 있다.

하나는 윈도우키+r 를 누른 후 실행 창이 보이면 거기서 cmd 를 치고 엔터
다른 하나는 바로 위에 사진에서 보이는 아래 부분 빨간 화살표 부분이다.
검색창에서 cmd 치고 엔터를 해도 되고 빨간 박스의 명령 프롬프트를 클릭해도 된다.

보이는 명령 프로프트에서 아 참고로 계정마다 C:\Users\~~~~ 부분은 다를 것이다.
여기서 위처럼 set path를 치면 노란 박스가 나타날 것이다. 만약 이 부분이 없다면 
설치된 Java의 path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이는 SE 7 설치 부분에 있다.

java 나 javac 를 쳐 보면 에러 같은 창이 없으면 된다.

추가로 

java --version
또는
javac --version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고 실행해 본다.

우선 오라클을 믿고 ㅋㅋ 다른 작업을 해 볼 것이다. ㅋㅋ

 

반응형

여기서는 eclipse를 다운로드만 한다.
설치는 java가 먼저 설치 되어야 한다.

아래와 같이 eclipse site 에서 우측 상단 다움로드를 클릭한다.

 

또 아래와 같이 Download x86_64 를 클릭한다

 

마지막으로 Download를 클릭한다.

정말 매우 간단하다. 참고로 다운 받은 파일을 통해 여러가지 형태의 eclipse 를 받을 수 있다.

 

반응형

Oracle 에서 Java를 선택한다.

위와 같이 우측 상단에 Java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위와 같이 JDK Download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에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OS 에 따라 받을 수 있다. 윈도우 x64 기반으로 Windows x64 installer 클릭해서 다운 받는다.

정말 예전보다 엄청 간단해 진 느낌이다. ㅎ

반응형

다운 받은 파일 : eclipse-jee-indigo-SR2-win32.zip

압축을 풀면 eclipse 폴더가 보일 것이다. 이를 원하는 위치, 작업하기 좋은 곳에 위치 시킨다.

참고로 폴더 명이 한글은 피한다.(한글 문제로 실행 및 환경 설정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여기서는 C 드라이브의 최상위에 옮길 것이다.

즉, eclipse 폴더를 그대로 C: 에 옮기면

C:\eclipse 가 보인다. 폴더 안에 eclipse.exe 를 더블클릭한다.

 

이와 같이 eclipse가 실행되는 것이 보일 것이다. 실행되던 중간에 작업 환경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workspace 폴더 지정이 있다.

 

 

기본적인 곳에 지정하면 편할 것이다. 윈도우 7의 경우는 Users의 사용자 계정 폴더가 보이며

XP의 경우면 아마 내 문서 폴더 명이 보일 것이다.

 하단에 Use this as the default and do not ask agiain 체크 박스가 보인다.

이는 eclipse가 실행될 때마다 이 다이얼로그 박스가 보인다. 이를 체크하면 설정한 폴더를 유지하기 때문에 다시는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서 이를 체크고 OK 를 클릭한다.

 

 

보이는 그림이 Eclipse 첫 화면이다.

Eclipse를 다운 받아 처음 실행하면 위와 같이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이제 하나 하나 기본적인 세팅을 해야 한다.

 

 

 

 

 

'Programmings > Androi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Download : eclipse-jee-indigo-SR2-win32  (0) 2012.04.12
반응형

간혹 보면 윈도우 7 64비트를 쓰는 사람들이 보인다.

하지만 현재 컴퓨터는 32비트에서 개발하기에 이에 맞추도록 한다.

 

우선 Eclipse site 에 접속을 한다.

http://www.eclipse.org

 

처음 보이는 화면은 (2012.04.12)

 

 

 

상단에 Download 를 클릭한다.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 나 Eclipse Classic 3.7.2 중 하나를 받는다.

여기서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 Windows 32bit 를 다운 받았다. 이를 클릭한다.

 

 

빨간 원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orrent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바로 밑에 BitTorrent 를 클릭하면 관련 파일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사용하면 더 빠르게 다운 받을 수도 있다.)

 

 

IE 버전에 따라 틀리므로 IE 9 버전을 사용하기에 이에 대해 설명한다.

위 그림처럼 IE 9 버전에서는 브라우저 하단에 위와 같이 나타난다.

 

편한 공간에 저장을 하기 위해 저장의 옆에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이와 같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A)를 클릭하여 원하는 곳에 저장한다.

폴더를 지정하여 저장하면

 

 

그림과 같이 다운로드 진행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받다가 바로 위에 그림과 같은 것이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런데 다운로드는 계속 진행 중이거나 중간에 멈춰버린 경우이다.

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에 Alt 키를 누르면

 

보이는 것처럼 메뉴에 도구가 보인다. 빨간 박스처럼 다운로드 보기를 클릭한다.

 

 이 박스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압축파일 zip 을 사용자가 가진 프로그램으로 압축을 푼다.

공개버전인 Alzip으로 압축을 풀 것이다.

 

 

Eclipse 실행

'Programmings > Androi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처음 실행 (skip 가능 ㅋㅋ)  (0) 2012.04.12
반응형

OS : Windows 7 Ultimate K Service Pack 1
Java version : javac 1.7.0_02

이에 대해 검색을 해 보면 대부분 XP 기준이다.
여기서는 Windows 7 을 살펴 보려고 한다.

환경 변수 설정에 접근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방법 하나
XP에서처럼 내 컴퓨터의 등록 정보 여기서는 속성을 보도록 한다.

 속성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시스템 관련 정보가 나타난다.

 


이 화면의 경우 Windows 7 을 쓰면 다 보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
좌측 상단에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한다.

  우측 하단에 환경 변수 를 클릭한다.

그러면 우리가 설정해야 할 환경 변수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환경 변수를 설정하기 전에 다른 방법을 보도록 한다.

방법 하나
또 하나는 XP 와 비슷하다. 바로 제어판을 이용하는 것이다.

시작 메뉴에서

 제어판을 클릭한다.


 
빨간 박스를 보면

시스템 아이콘을 클릭한다
위에서와 같이 시스템 정보가 나타난다.

 고급 시스템 정보를 클릭하고

대화 상자에서 환경 변수를 클릭한다.

지금까지는 XP와 비슷하다.
이번에는 사용자 게정을 이용하는데 Windows 7에서 보게 되었다. (그래서 XP엔 있는지 모른다. ㅋ)

방법 하나

시작 메뉴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우측 상단을 보면 그림이 보인다.
이는 원래  계정자의 프로필 사진이다. 이를 클릭한다.

 그림처럼 사용자 계정 정보가 보인다.

좌측에 보이는 환경 변수 변경 ( 빨간 박스) 를 클릭한다.
그러면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방법 하나

시스템 정보를 바로 보는 단축키가 있다.
윈도우즈 키 + Break 키 이다.


여기까지 우리는 환경 설정을 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끝났다.
이제 하나 하나 추가 하다록 한다.


  환경 변수 설정


시스템 변수로

JAVA_HOMECLASSPATH 를 설정해 준다.

JAVA_HOME 은 일종의 닉네임이 아닐까 싶다. (리눅스에 닉네임이 있었지.. ㅎ)
JAVA SDK 가 설치될 폴더를 알맞게 지정해 주게 된다.

자동으로 설치되었다면 Program Files 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즉 자신이 설치된 경로를 하나의 이름으로 설정해 준다.
 

   
새로 만들기 >> 새 시스템 변수 대화 상자

그림처럼 변수 이름 : JAVA_HOME                  을 입력하고
             변수 값    : C:\Java\jdk1.7.0_02  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 짐을 확인한다.

다음은 이를 이용한 Path 설정이다.
이를 설정해 주는 이유는 설치된 파일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보통 파일은 저정된 곳에서만 실행이 가능하다. 어떤 곳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은
path 에 경로 값을 주어 어느 곳에서도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path 를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만들어진 곳에 추가를 하는 것이다.

 
보이는 변수를 클릭하고 편집 또는 변수를 더블 클릭한다.



맨 마지막에 %JAVA_HOME%\bin  을 추가한다.

추가시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우선 편하게 변수 값 맨 마지막에 추가한다.
여기서 경로를 추가 하려면 " ; " 을 붙이고 이 뒤에 추가할 경로를 설정해 준다.
그리고 간혹 신경을 쓰지 못해 실수 하는 경우가 있다.
%JAVA_HOME%\bin 이 부분에서 \ 이다.
이느느 경로를 구분 짓기 위한 것이기에 꼭 필요하다.


CLASSPATH 설정이다.
 그림에서 쉽게 확인 가능하다.

값은 .;%JAVA_HOME%\lib\tools.jar 이다. ' . ' 을 주의한다.
머리 속에서는 대략 이러구나 생각은 드나

java 10.0.2에는 tools.jar 파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 만 해 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전문가를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모르기에...
이 부분은 무조건 하라고 해서 하고 있다.

이상 기본 적은 환경 변수 설정은 되었다.
다음은 경로 설정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실행에서 cmd 를 치면 콘솔 창이 나타난다.
콘솔에서 javac 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javac'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이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난면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 하기때문이다.


반응형

저는 예전부터 자바를 여러 번 설치를 해 보았지만
설치할 때마다 아주 약간의 바뀌는 것은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전혀 바뀌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JDK 를 설치할 때 JavaFX 설치 부분이 없었는데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현재는 같이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더 공부를 해야 겠다. (모두 혼자말이다. 그래서 존칭, 평서문이 합쳐져 있다.)

간단히 설치 환경은 노트북에 윈도우 7u 이다. 그래서 다운 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모두 알다시피 실행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한다.



간단하게 설치를 하냐고 묻는거 같다. ㅋㅋ Next Click


설치 폴더를 묻는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 바꾸고 싶은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1, 2, 3 을 진행한다.
여기서는 폴더를 바꾸기 위해 1. Change... 를 클릭하여 원하는 곳을 설정한다.


위 그림이 바뀐 폴더를 보여주고 있다.  Next Click


위 그림이 나타면 설치 진행이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설치 중에 가상머신을 설치하기 위한 화면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이도 변경할 수 있지만 이는 고수가 아닌 이상 변경할 필요는 없고 기억만 해 두기 바란다.
설치를 위해 Next Click
다음은 그에 따른 진행과 함께 최종 서치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진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고 다음 진행을 요구하게 된다.


위 그림을 통해 기본 SDK 는 끝나고 JavaFX 설치 진행을 도와준다.


위 그림을 보면 알듯이 JavaFX 2.0 SDK 설치 진행 의사를 묻게 된다. Next Click


 

바로 위 그림을 통해 경로 설정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여기서는  폴더 자동 생성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고수가 아니므로 이 부분은 기본대로 유지하여 설치 한다. Next Click


진행과 함께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Close Click


브라우저를 통해 설치 완료를 확인시켜 준다.

이것으로 간단하게  Java 가 설치됨을 이제 알 수 있다.

반응형
JAVA SE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Oracle Site 를 방문한다.
현재는 2012.02.02 이다. Site 가 매번 바뀌기에 페이지 올리는 날짜를 기록한다.

http://java.sun.com 을 방문하여도 되고 http://www.oracle.com/ 을 방문하여도 된다.
화면의 차이가 있으므로 설명한다.

http://www.oracle.com/ 를 클릭하여

 


오른쪽 상단을 보면 Java for Developer 에 빨간 박스 있다. 이를 클릭한다.
또는 SUN 이 이전 되기 전 주소인
http://java.sun.com 를 클릭하며

 


오른쪽을 보면 Java SE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한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오른쪽 하단에 Download 빨간 박스를 클릭한다.



Decline License Agreement 가 선택된 것을 Accept License Agreement 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바뀌게 된다.

원하는 사양에 따라 설치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여기서는 우리가 대부분 가지고 있는 Windows x86 기준으로 한다. 그래서
jdk-7u2-windows-i586.exe 를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위 그림은 화면에 나타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전에 Java 4~5 일 때보다 다운이 매우 간단해 진 것으로 확인 가능하다.

2012.02.04_02:21~ 추가 내용

위는 영문 페이지 이다.
http://www.oracle.com/kr 인 경우와 에러지 http://www.oracle.com/kr/index.html 는 한국이다.



첫 페이지 오른쪽 빨간 박스를 클릭하면 밑과 같이 나타난다.


보면 알듯이 다운로드에 JAVA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하면 밑과 같이 나타난다.


http://java.sun.com 을 방문하여도 되고 http://www.oracle.com/ 을 방문하여도 된다.
화면의 차이가 있으므로 설명한다.

http://www.oracle.com/ 를 클릭하여

 


오른쪽 상단을 보면 Java for Developer 에 빨간 박스 있다. 이를 클릭한다.
또는 SUN 이 이전 되기 전 주소인
http://java.sun.com 를 클릭하며

 


오른쪽을 보면 Java SE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한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오른쪽 하단에 Download 빨간 박스를 클릭한다.



Decline License Agreement 가 선택된 것을 Accept License Agreement 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바뀌게 된다.

원하는 사양에 따라 설치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여기서는 우리가 대부분 가지고 있는 Windows x86 기준으로 한다. 그래서
jdk-7u2-windows-i586.exe 를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위 그림은 화면에 나타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전에 Java 4~5 일 때보다 다운이 매우 간단해 진 것으로 확인 가능하다.

2012.02.04_02:21~ 추가 내용

위는 영문 페이지 이다.
http://www.oracle.com/kr 인 경우와 에러지 http://www.oracle.com/kr/index.html 는 한국이다.



첫 페이지 오른쪽 빨간 박스를 클릭하면 밑과 같이 나타난다.


보면 알듯이 다운로드에 JAVA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하면 밑과 같이 나타난다.



JAVA SE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하면
위에서 설명한 Java SE Downloads 페이지가 나타난다.

'Programmings > JAVA SE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E 15.0.2 설치하기  (0) 2021.01.22
eclipse ide 2020-12 download  (0) 2021.01.13
Java SE 15 Download  (0) 2021.01.13
Java 설치 후 기본 환경 변수 설정  (0) 2012.03.06
Java SE 7 update 2 설치 ( jdk 1.7.0_02)  (2) 2012.02.16

+ Recent posts